전치사 preposition
영문법(영어 사고방식)을 쉽고 재밌게 배울 수는 없을까?
그래머콘 크리에이터, 문해력쌤입니다.
그래머콘으로 영어가 영어다워지도록 영어만의 느낌을 살려주는 전치사를 배울 차례야. 근데 앞 전, 둘 치, 말 사, 앞에 둔다. 이런 한자 표현은 바로 와닿지가 않아. 아마도 일본식 문법책을 바꿨기 때문일거야. 흠.. 도대체 어디 앞에 두는 걸까? 바로 전치사는 명사의 앞에서 콕 대상을 찍어두는 앞정핀같은 거라 ‘명사앞콕’이라고 별명을 지어보는 건 어떨까? 아니면 명사 전에 온다는 뜻으로 ‘전명사’가 더 쉬워보여.
전치사는 관계를 나타내는 안내판
전치사는 위치나 방향, 움직임, 시간에 대한 ‘관계’를 알려주는 안내판 같은거야. 그런데 상자의 안이라고 하면 그 말은 안과 밖이 있다는 뜻이잖아. 나무 아래라고 하면 나무의 위가 있듯이 말이야. 그래서 전치사가 나오면 ‘관계’를 그림으로 상상하고 떠올리면서 생각하고 말하고 글을 쓰는 게 좋아.
전치사 다음엔 타깃(명사)가 나와야 한다.
전치사는 타동사처럼 반드시 타깃(명사류)이 있어야해. 또한 전치사는 전치사의 대상이 바로 나와야한다. 이게 뭐랑 비슷하더라? 그래. 맞아 타동사가 반드시 타겟대상이 있어야 하고 타겟에는 이름표명사만 입장가능했듯이. 전치사도 타겟대상이 필요하고 이름표명사만 들어갈 수 있어. 정말 비슷하지? 그래서 동사의 타겟은 육각별, 전치사의 타겟은 오각별이야.
전치사(명사앞콕)와 명사가 붙으면 그건 부사덩어리도 취급이 돼서 그건 문장에서 악세사리 같은거야.
특히나 이걸 내가 머리를 쥐어짜서 마치 목적어처럼 별모양으로 그리고 아래는 물결표시로 그린 이유가 있어. 전치사 다음엔 명사라고 외우면 쉬운 거 아니냐고? 맞아. 그런데 더 정확히는 “전치사+전치사의 목적어”인데 목적어 자리에 명사를 넣어야 하는거지. 그런데 전치사의 목적어(오각별모양)이기 때문에 인칭대명사가 들어올 때는 꼭 목적격으로 변신을 해야하는 거야. 인칭대명사는 역할에 따라 모습이 바뀌니까 목적격을 써야해. 그리고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에 동사가 들어오려면 동명사(동사가 ing를 붙여서 명사로 변신)로 바꿔서 ‘명사’로 입장해야 하는거야.
1) 전치사 + 명사 (명사는 항상 개수에 주의해야해.)
2) 전치사 + 대명사 (인칭대명사라면 역할에 따라 모양이 바뀌는 카멜레온 같아.)
3) 전치사 + 동사(명사만 가능한 자리이므로 ing를 붙여서 동명사로 변신해야해)
전치사+명사=부사덩어리, 형용사덩어리
전치사(명사앞콕)와 명사가 붙으면 그건 부사덩어리, 또는 명사를 뒤에서 꾸미는 형용사 덩어리로 취급이 돼서 그건 문장에서 악세사리 같은거야. 수식어구(덩어리)가 되는 거라서 문장 요소에 들어가지 않아 주로 형용사 덩어리나, 부사 덩어리로 쓰여서 의미나 느낌을 살려주기 때문에 중요하지만 문장구조를 따질 때는 문장구조에서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라 물결표시로 그린 거야.
시간 전치사 그래머콘(이미지로 외우자)
시간 전치사가 참 다양하지? 그 중에 기본인 at, on, in(~에)과 in, within(시간의 양: 후에, 안에)을 비교해볼게.
기본적인 전치사 in이라도 시간이 나올 때와 장소가 나올 때가 뜻이 헷갈려. 왜냐하면 장소에서는 안쪽이란 뜻이잖아. 한국어 식으로 무작정 ‘in=안에’ 이라고 외운다면 시간의 양이 나올 경우 그 시간 안에로 헷갈리기가 쉽거든. 하지만 장소가 나올때는 ‘안에’라고 해석되던 in은 구체적인 시간의 양이 나올 경우 ‘안에’가 아니라 ‘후에’로 뜻이 바뀌는거지. in 2 hours 하면 2시간 후에라는 뜻이야.
1) in 큰 시간: 시간에 in 2012 (2012년에)
2) in 구체적 시간의 양: 시간 후에 in 5minutes (5분 후에) 5분 안(X)
3) in 장소: 장소 안에 in the house (집 안에)
다시 한번 강조하자면 시간 전치사(명사 앞콕)에서 헷갈리기 쉬운 건 in이야. 주로 장소에서 in은 어느 공간 안을 말하거든. 그래서 한국사람들이 ‘안’이라고 외워서 in 2 hours 하면 두시간 안에로 여기기 쉽거든. 하지만 시간전치사로서의 in은 그 시간을 다 채우고 난 후의 느낌이라 시간 후라고 생각하면 좋아. 2시간 후에 라는 뜻이라 2시간 안이라는 뜻과 반대의 개념이 되는거지. 아이들이 엄마에게 자주 말하는 표현으로 숙제 언제 할래? in a bit. 조금 있다가요.(조금 후)
시간 전치사에 ‘언제까지’라는 의미를 가진 by와 until과 till을 살펴볼게. 모두 다 언제까지라는 의미이지만 전치사에 따라서 느낌이 달라서 주의해야해. until과 till은 같은 의미라서 일부러 언틸~~~, 틸~~~ 이렇게 외우면 좀 편해. until과 till(un이 빠진 대신 뒤에 ㅣ이 2번 나와, 우리 아들이 untill로 쓰는 걸 봤는데 그건 잘못된 거야. until 이거나 till 이야.)은 쭉~~~~ 뭘 하다가 언제까지란 뜻이야. 그 시각까지 행동을 지속적으로 쭉 한다는 뜻을 담고 있어.
그에 비해 by는 과정은 그 행동을 하던 다른 행동을 하던 그 시각까지 완료 끝난다는 뜻이야.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5542714
비주얼 영문법 그래머콘 - 예스24
세상에서 가장 쉬운 영문법, 영문법을 단순화한 그래머콘!현직 교사가 직접 손으로 그려 정리한 영문법 핵심 아이콘!『비주얼 영문법 그래머콘』은 영문법을 단순화한 그림 모형들을 이용하여
www.yes24.com
'비주얼영문법 그래머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장의 형식-4형식 문장 기차와 수여동사 (0) | 2024.04.01 |
---|---|
문장의 5형식 중 1-3형식 그래머콘 (0) | 2024.04.01 |
부사 그래머콘 4가지 역할, ly 붙여도 부사가 되지 않는다. (0) | 2024.03.14 |
수량 형용사 few, little, many, much, some, any (0) | 2024.03.12 |
형용사 그래머콘(명사 수식, 보어 역할) (0) | 2024.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