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모든 걸 결정하는 엔진
영문법(영어 사고방식)을 쉽고 재밌게 배울 수는 없을까?
그래머콘 크리에이터, 문해력쌤입니다.
우와 어려운 챕터 1을 우리는 넘어왔어. 정말 축하해. 그럼 영어에서 가장 중요한 동사를 비주얼씽킹 방법으로 머리 속에 쏙쏙 넣어보자. 우선 수연이의 일기장을 슬쩍 열어보니
‘난 왜 영어에서 5형식이 있는지 모르겠다. 그냥 말하면 되지 왜 형식이 있는거지? 특히 vi, vt라는 설명을 들으니 머리를 쥐어 뜯고 싶었다. 영어가 어려운데 더 어려운 암호같은 영어로 설명을 하니 들어오지가 않았다.’
가장 중요한 동사(엔진)는 두 종류야.
앞에서 입이 아프게 반복한 말이지만 영어 문장을 결정하는 열쇠는 바로 동사야. 기차로 치면 엔진 같은 곳이지. 동사는 훨씬 더 자세히 나눠줄 수 있지만 간단히 2개로만 나눌거야.
자, 복습 들어갑니다. 동사의 두 종류는 뭐였지?
이게 중요한 이유는 동사에 대한 감각이 중요해서야. 동사의 종류에 따라 1형식인지, 2형식인지, 3형식인지가 결정되기 때문이고 심지어 뜻도 달라지기도 해. look은 보인다, 보다는 자동사이기 때문에 ‘-을 보다’로 사용하려면 콕 찍어주는 전치사가 있어야해.(look at) 반면 watch는 타동사라서 그냥 바로 목표대상이 나오면 되는거야. 아래를 봐봐. 또한 한국인이 많이 하는 실수중의 하나가 marry –을 결혼하다. 타동사이기 때문에 타겟이 바로 나와야만 해서 전치사를 쓰면 안되는거지.
He looks gorgeous. 그는 멋져 보여. (look 자동사)
He looked at the windows. 그는 창문을 보았다. (대상이 오려면 전치사 필요)
He watched the windows. (watch 타동사 –을 보다)
He married her. (0) 그는 그녀를 결혼했다.
He married with her (X) 한국식으로 그녀와 결혼했다라고 쓰면 안되는 거야.
동사에는 3가지 눈이 달렸어요. “시개누”
영어로 말을 하고 글을 쓰려면, 영어 사람들의 생각에 익숙해지는 게 방법이라고 했지? 그런데 우리가 그냥 존댓말을 사용하듯이 영어 사람들이 동사를 쓸 때는 3가지를 생각하며 말을 해. 바로 시간, 개수, 누구인가야. 기억이 안 날 땐 개시누~
그걸 영어문법에서는 시제를 생각하고, 단수인지 복수인지 체크하라고 또는 3인칭 단수라는 복잡한 일본식 한자를 사용하는데 나는 그걸 반대해. 영어보다 더 복잡한 한자식 설명은 배우는 사람을 무기력하게 만들기 쉬워. 용어야 알아야 하겠지만 지금부터 우리는 ‘시개누’를 생각하며 동사를 사용하는 거야. 뭐라고? 시개누!
아들에게 시간, 개수, 누구가 중요하다고 외우기 쉽게 ‘개시누’를 말해주었더니 ‘큭큭’ 하고 웃음이 터졌어. ‘동사는 개시누래 ㅎㅎ개시누.’ 좋아. 그렇게 하면 더 기억에 잘 남을테니 괜찮아. 그럼 지금부터 시개누를 고려해서 동사를 써보자.
영어를 쓰거나 말할 때 항상 주인공의 시간과 개수를 생각하고 써야 해. 글을 쓸 경우 동사를 쓰는 순간 왼쪽으로 살짝 눈길을 되돌아본다고 생각하고 주인공의 시간과 개수를 체크하는 것이 영어식 사고방식인 거지. 음.. 영어 사람처럼 생각하고 바라보기 위해 ‘시간’, ‘개수’라는 필터를 달아준다고 생각해봐. 몇 가지 예만 보여 주고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해줄게. 일단은 먼저 비주얼씽킹 그림을 훑어봐.
Be동사 아기 돼지 3형제
먼저 Be 동사를 배워보자. ‘나는 학생이다.’라는 글에서 ‘-이다’에 해당하는 말이야. 그런데 아기돼지 3형제 이야기 알지? Be가족은 Be동사 현재형이 3형제로 나눠져. 원래 모양(원형infinitive)는 be지만 현재일 때 am, are, is 삼형제로 나뉘는 거야. 그런데 주인공에 따라 동사가 달라지니까 많은 책을 읽고 입으로 말하고 쓰며 익숙해져야해.
어떻게 하면 이해가 잘 될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짝궁에 따라 맞추는 퍼즐형식의 돼지 삼형제로 그려보았어. 그림을 한 번 따라 그려봐도 좋아. you(너)와 2명이 넘으면 are, I(나)는 am과 짝이 맞고, he, she, it, 사람동물물건 1개일 경우는 is과 짝궁이 되는거야. 아래 그림을 보고 이해해봐.
Be동사의 부정문과 의문문
be동사가 들어있는 문장을 ‘아니다’라고 부정하고 싶으면 그냥 be동사를 찾아서 바로 뒤에 not만 붙이면 끝이야. 정말 쉽지? be 뒤에 not!
be동사가 있는 문장에서 물어보는 질문을 하려면 어떻게 할까?
자, 지금부터 가볍고 점프를 잘하는 돼지 3형제를 떠올리고 주어 앞으로 점프하는 모습을 상상해봐. be 돼지 삼형제가 주어 앞으로 점프를 하고, 맨 뒤에 ?를 붙여주면 되는 거야.
'비주얼영문법 그래머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용사 그래머콘(명사 수식, 보어 역할) (0) | 2024.03.12 |
---|---|
3인칭단수: 일반동사 3인칭단수현재 그래머콘 (1) | 2024.03.12 |
그래머콘 대명사(지시대명사, 인칭대명사) (0) | 2024.03.12 |
그래머콘 명사 (0) | 2024.03.11 |
영어 8품사를 그래머콘으로 이해하자(비주얼 품사 이미지) (0) | 2024.03.10 |